지도교수 및 학점관리 - 나노융합과학과
1. 지도교수 배정 및 학사지도
1)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1기말에 지도교수를 배정하며, 그 이전의 학사지도는 학과주임교수가 담당한다. 단, 입학 후 휴학 또는 기타 학적변동이 있는 학생의 경우 복학하는 학기에 배정한다.
2) 지도교수 변경은 최대 3기 초 변경기한 내에 할 수 있으며 변경신청서에 지도교수와 학과주임교수 승인 후 대학원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3) 지도교수 당 누적지도 학생 수는 석사과정 4명, 박사과정 3명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단, 이를 초과할 경우에는 대학원 나노융합과학과 교수회의에서 초과가능 규모를 정한다.
2. 학점관리
1) 전공취득학점은 석사과정 24학점 이상, 박사과정은 36학점 이상, 석·박사학위통합과정 이수학점은 57학점 이상으로 규정한다.
2) 대학원 나노융합과학과 졸업 최저이수학점은 아래 표와 같다.
| 학과코드 | 학과 | 석사학위 | 박사학위 | 석·박사학위 통합 | |||
| 과목구분 | 최저 이수학점 |
과목구분 | 최저 이수학점 |
과목구분 | 최저 이수학점 |
||
| H2GAZ1 | 나노융합과학과 | 졸업학점[1] | 24 | 졸업학점[1] | 36 | 졸업학점[1] | 57 |
| H2GAZ1 | 나노융합과학과 | 전공[1] | 12 | 전공[12] | 18 | 전공[12] | 30 |
3) 졸업학점 = 전공학점 + 타전공일반선택(단, 전공학점 = 전공선택 + 전공필수)
4) '대학원 교육과정 및 수업에 관한 내규' 제3조의 1에 의해 졸업학점의 1/2에 해당하는 학점을 소속 학과에서 취득한다.
5) 나노융합과학과는 '대학원 학과간협공과정학과'로서 아래에 해당하는 학과 수업을 수강신청 할 수 있으며, 전공과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①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② 전기공학과
③ 화학공학과
④ 신소재공학과 (2012년도 후기부터)
⑤ 화학과 (2012년도 후기부터)
6) 필수과목 : 본 학과는 실수과목을 지정하지 않는다.
7) 선수과목 : 타전공의 범위 및 타전공 학생에 대한 선수과목 지정은 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단, 선수과목으로 지정된 과목의 학점은 졸업학점에 포함하지 않다.
8) 지도교수가 논문지도에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학과주임교수의 허가를 받아 이수한 타 학과의 학점은 대학원장의 승인을 거쳐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